최석호
최석호
소속
경희대학교 (응용물리학과)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최석호 교수는 그래핀, 실리콘 양자점, 나노도트, 탄소나노튜브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및 광전자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온빔 스퍼터링, 이온주입, 원자층 증착법, 화학적 식각 등 정밀한 나노소재 합성 및 소자 제작 기술을 활용하며, 그래핀, 실리콘 양자점 및 실리카 나노입자의 하이브리드 구조 설계를 통해 소재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비휘발성 메모리, 고효율 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 실리콘 양자점 기반), 광증폭 발광소자, 광검출기, 터널링 다이오드, DNA 및 분자 검출용 바이오센서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의 구조 및 도핑 조절을 통해 기존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의 디바이스를 제시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고성능 센서, 에너지 효율 극대화 등 미래 핵심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최석호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sukho@khu.ac.kr |
| 재직 상태 | 퇴직 |
| 부서 학과 | 응용물리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2499 |
| 연구실 | 나노소자 및 디스플레이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nano.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응용물리학과 교수로서 실리콘 기반 반도체 및 II-VI족 재료 융합형 반도체, 나노구조 제작 및 특성 분석, 발광 소자, 메모리, 태양전지 등 응용 분야 연구 및 교육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
| 회사명 | 호주국립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명예교수로서 25년간 한국과 호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국제 협력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
중요 키워드
#광전자소자#그래핀#포토다이오드#스퍼터링#이온도핑#반도체소자#재료공학#양자점#나노구조#SiOx#비휘발성메모리#ZnO#나노소자#발광소자#태양전지
연구 분야
| 연구 1 | 나노구조 설계 및 특성 규명 |
| 내용 | 양자점, 나노선, 그래핀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 물질을 설계하고 제작하며, 이들의 기초적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심도 있게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나노 스케일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현상을 이해하고, 원하는 기능성을 갖도록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차세대 전자 재료의 근간을 마련합니다. |
| 연구 2 | 차세대 광전 소자 개발 |
| 내용 | 나노구조 물질의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고효율 및 고성능의 광전 소자를 개발하는 연구입니다. 구체적으로는 LED(발광 다이오드), 태양전지, 광검출소자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물질 구조 및 소자 설계 기술을 탐색합니다.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둡니다. |
| 연구 3 | 나노 물질 기반 메모리 및 전자 소자 연구 |
| 내용 | 나노구조가 가진 독특한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차세대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소자용 물질과 구조를 연구합니다. 정보 저장 용량과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소자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며, 미래 컴퓨팅 및 정보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개발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참여 과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 지원 연구 수행 [학술 기여] - 25년간 한국과 호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 |
학력
| 학력 사항 | 1981.2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이학사 1984.2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이학석사 1987.2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이학박사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