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양자 정보 과학으로, 양자 통신, 양자 컴퓨팅, 양자 정보 보안 시스템 개발에 집중합니다. 특히, 양자 집적 코딩, 반사실적 양자 클록 동기화, 양자 얽힘 분배 및 분류, 양자 상태 단층 촬영 및 계측 방법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을 연구하며 양자 네트워크의 핵심 기반 기술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자 통신 분야에서는 채널 모델링, 분자 전송 특성 제어, 나노머신 기반 분자 통신 시스템 설계에 기여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보안 전송 및 빔 형성 기술을 최적화하는 연구도 수행합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신현동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hshin@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3812 |
| 연구실 | 통신 및 부호이론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cctlab.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
| 재직기간 | 2006.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무선 통신, 양자 통신, 양자 컴퓨팅, 분자 통신 등 미래 핵심 통신 기술 분야의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4단계 BK21 미래통신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장을 역임하며 차세대 통신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115편의 SCI(E) 논문 (JCR IF 상위 10% 50편 포함), 211회 국제 학술회의 발표, 52건의 등록 특허를 통해 학술적, 기술적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특히, 무선 통신 및 네트워킹 분야 기여로 IEEE Fellow로 선정되었으며, IEEE Guglielmo Marconi Prize Paper Award, IEEE William R. Bennett Prize Paper Award, 교육과학기술부 지식창조대상을 수상하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
| 회사명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
| 재직기간 | 2004.09.01 ~ 2006.02.01 |
| 담당업무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선도적인 연구기관에서 최첨단 통신 및 정보 이론 분야 연구에 참여하여 글로벌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심화된 전문성을 확보했습니다. |
| 연구 1 | 미래 통신 핵심 기술: 양자 및 분자 통신 |
| 내용 | 이 분야는 차세대 통신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양자 정보, 양자 통신, 양자 네트워킹 분야의 선행 연구에 집중합니다. 무선-양자통신융합 기초연구실의 연구책임자로서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생체 환경 및 나노 스케일 통신을 위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인 분자 통신에 대한 모험 연구를 수행하며 미래 통신 분야의 지평을 넓히고 있습니다. |
| 연구 2 | 고성능 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설계 |
| 내용 | 이 분야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에 대한 근본적인 기여를 인정받아 IEEE Fellow에 선정된 핵심 연구 영역입니다. 다중홉 MIMO 협력 통신, 물리 계층 보안 무선 전송, 이종 무선 네트워크 등 무선 통신 및 네트워킹의 성능과 보안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에 대한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6H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
| 연구 3 | 응용 기술: 무선 측위 및 머신러닝 활용 |
| 내용 | 무선 통신 기술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분야로, 특히 무선 측위(Wireless Localization)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사업을 통해 MIT LIDS 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이 분야의 선도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을 무선 측위 기술에 접목하는 산업체 위탁 연구를 수행하며, 지능형 자동차 IT 연구 등 다양한 융합 산업 분야에 연구 성과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
| 활동 내용 | [대외활동 및 수상] - 무선-양자통신 융합기초연구실 연구책임자 (2022년 6월 ~ 현재) - 4단계 융합 BK21 미래통신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 교육연구팀장 (2020년 9월 ~ 현재) - 3단계 BK21 오감증강 미래통신 인력양성팀 팀장 (2013년 9월 ~ 2020년 8월) - IEEE Fellow (무선 통신 및 네트워킹 분석 및 설계 기여) - IEEE Guglielmo Marconi Prize Paper Award 수상 - IEEE William R. Bennett Prize Paper Award 수상 - 교육과학기술부 지식창조대상 수상 (컴퓨터 과학 분야 최초) [기술 자문 및 공동 연구] - LG전자 위탁 연구 (머신러닝 기반 무선 위치 측정 기술) -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프로젝트 (미국 MIT LIDS 연구실과 무선 위치 측정 기술 공동 연구) - 한중 협력 연구 프로젝트 (중국 우한이공대학교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공동 연구) |
| 학력 사항 |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공학박사 (2004)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석사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