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충선
홍충선
소속
경희대학교 (인공지능학과)
AI요약
홍충선 교수는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분야 전문가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 5G 및 미래 네트워크 환경에서 강화 학습, 연합 학습,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과 모바일 엣지 컴퓨팅을 융합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인 항공기(UAV)를 활용한 통신 음영 지역 해소, 자원 자동 배치 및 모바일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의 태스크 오프로딩과 자원 관리 효율화를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홍충선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cshong@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인공지능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2532 |
| 연구실 | 네트워킹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networking.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KT |
| 재직기간 | 1988.03.01 ~ 1999.08.01 |
| 담당업무 | 통신망연구소 수석연구원 및 네트워킹연구실장 역임. 통신 네트워크 분야 연구 개발을 주도하여 차세대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1999.09.01 ~ 2023.08.31 |
| 담당업무 |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보호, AI 네트워킹,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 다수의 학생을 지도하며 학술적 성과 창출.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16.02.01 ~ 2020.12.21 |
| 담당업무 | 산학협력단장 및 국제캠퍼스 연구산학협력처장 역임. 대학의 기술사업화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통해 연구 성과의 실질적인 산업 적용을 견인. |
| 회사명 | 한국연구재단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책임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국가 연구 개발 과제 심사 및 관리에 참여하여 연구 생태계 발전에 기여. |
| 회사명 | 한국정보과학회 |
| 재직기간 | 2016.03.01 ~ 2017.02.01 |
| 담당업무 | 회장직을 수행하며 정보과학 분야의 학술적 발전과 교류 활성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국제캠퍼스 학무부총장으로서 교육 및 행정 업무를 총괄하며 대학의 발전 전략 수립 및 이행에 기여. |
| 회사명 | KOREN연구협력포럼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의장으로서 KORE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연구 협력과 활성화를 통해 국내 ICT 연구 인프라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
| 회사명 | 국가AI전략위원회 |
| 재직기간 | 2023.09.09 ~ 재직 중 |
| 담당업무 | 민간위원으로 위촉되어 국가 AI 전략 수립 및 이행에 참여하며 AI 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음. |
| 회사명 | 한국정보기술학술단체총연합회 |
| 재직기간 | 2016.03.01 ~ |
| 담당업무 | 회장직을 역임하며 국내 정보기술 학술 단체들의 연합 활동을 지원하고 학술적 교류를 확대하는 데 기여. |
| 회사명 | 한국대학정보화협의회 |
| 재직기간 | 2015.02.01 ~ 2016.05.01 |
| 담당업무 | 회장직을 수행하며 대학 정보화 분야의 협력과 발전을 주도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참여.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14.08.01 ~ 2016.02.01 |
| 담당업무 | Info21사업단장으로서 정보화 사업 기획 및 추진을 통해 대학의 정보 인프라 고도화와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중요 키워드
#기계학습#무선센서네트워크#강화학습#자원할당#5G네트워크#네트워크보안#이동성관리#무인항공기#네트워크최적화#콘텐츠네트워크#엣지컴퓨팅#에너지효율#분산학습#SDN#스마트컨트랙트
연구 분야
| 연구 1 |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 |
| 내용 | 이 분야는 5G 및 Beyond 5G(6G) 네트워크,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환경에서의 통신 및 서비스 관리 기술을 연구합니다. 핵심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통한 맞춤형 네트워크 제공,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자원 할당 및 관리 최적화, 그리고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N&SM)**를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와 프로토콜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높은 신뢰성(Ultra-Reliable), 대규모 연결성, 초저지연 특성을 갖춘 미래 통신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분산 인공지능 및 연합 학습 (Federated Learning) |
| 내용 |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와 효율적인 엣지 컴퓨팅을 위해 **연합 학습(Federated Learning)**을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는 연구에 집중합니다. IoT, 엣지 네트워크, 무선 고고도 풍선 네트워크(Wireless High-Altitude Balloon Networks) 등 다양한 분산 환경에서 연합 학습의 통신 효율성을 높이고, 수렴 분석을 수행하며, 태스크 및 자원 할당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탐색합니다. 나아가 분산 및 민주화된 학습(Distributed and Democratized Learning)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엣지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메타 강화 학습 기법을 개발합니다. |
| 연구 3 | 유비쿼터스 및 센서 네트워크 보안 |
| 내용 | 이 분야는 다양한 센서 노드와 모빌리티가 존재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공격 탐지 및 대응(attack detection and response) 메커니즘 개발에 중점을 두며, 모바일 Ad Hoc 네트워크 및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및 보안 문제,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메커니즘 등 미래 네트워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범위한 보안 기술을 다룹니다. |
강의
| 담당 업무 |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보호, AI 네트워킹, 머신러닝 등 다양한 컴퓨터공학 및 ICT 융합 분야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창의ICT융합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 기계학습, 미래인터넷, 이동컴퓨팅 등 실용적이고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한 과목들을 가르치며 학생들의 실무 역량 강화에 집중하였습니다. 또한, ESG경영 최고위(전문가)과정에서 'AI 기술과 기후변화 대응'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하는 등 폭넓은 교육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수상 및 학술 활동] - 인터넷진흥상 수상 (2021) - IEEE 석학회원(Fellow) 선정 (2023) - 한국정보처리학회 등 다수 수상 - 한국정보과학회 회장 역임 (2016.03 – 2017.02) - 한국정보기술학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역임 (2016.03) - 한국대학정보화협의회 회장 역임 (2015.02 – 2016.05) [정부 및 기관 자문] - 국가AI전략위원회 민간위원 위촉 (2023년 9월 9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연구재단 지원 기초연구실(BRL) 사업 선정 - 'AI 혁신 허브' 공동연구기관 선정 사업 참여 [산학 협력 및 교육] - 서울대, 아주대,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소속 교수들과 공동 연구 진행 - 대기업, 중견기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과 산학협력 진행 계획 - 학생 동아리 NET 지도교수 - 경희대학교 부총장으로서 ESG경영 최고위(전문가)과정에서 'AI기술과 기후변화 대응' 주제 기조강연 (2024년 9월 10일) |
학력
| 학력 사항 | 공학박사 게이오대학교 정보통신공학 (1997) 석사 경희대학교 전자계산기 (1985) 학사 경희대학교 전자공학 (1985)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