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임윤숙

임윤숙

소속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I요약

임윤숙 교수는 식품영양학을 기반으로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및 분해 효능을 지닌 신규 티아졸 유도체 연구를 통해 당뇨 합병증 등 AGEs 관련 질환 치료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또한 토코트리에놀을 활용한 근위축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둥근잎유홍초 추출물을 이용한 상처 치유 조성물,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수명 연장 조성물 개발 등 다양한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만성 질환 관리, 노화 억제, 건강 증진에 기여하며,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임윤숙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임윤숙
직책교수
이메일ylim@kh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식품영양학과
사무실 번호029610262
연구실인체영양 및 대사질환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khu.elsevierpure.com/en/persons/yunsook-lim
홈페이지https://khu.elsevierpure.com/en/persons/yunsook-lim
소속경희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희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식품영양학과 교수 - 인체 영양학, 영양 면역학 분야 연구 및 교육 담당. -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 조절 영양소 및 기능성 소재 발굴. - 대사성 질환(당뇨병, 비만, 심혈관계 질환 등) 예방 및 치료 기전 연구 수행. - 천연물 기반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생리활성 기전 규명. - 다양한 학술 연구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 및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에 기여.

중요 키워드

#인체영양학#약학조성물#토코트리에놀#상처치유#기능성식품#항산화#가지추출물#산화스트레스#영양면역학#천연물#건강기능식품#대사질환#티아졸유도체#생리활성물질#염증

연구 분야

연구 1천연물 및 발효 소재 기반 대사 질환 및 에너지 대사 조절
내용이 분야는 다양한 천연물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 소재를 활용하여 당뇨병, 비만, 고지방 식이에 의한 대사 장애 등 만성 대사 질환을 개선하는 연구에 중점을 둡니다. 구체적으로 구아바 잎 추출물의 미생물 발효를 통해 유도된 대사체가 SIRT1-PGC1$\alpha$ 신호 전달을 통해 간 에너지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를 규명했습니다. 또한, 갯잎나무(Lespedeza bicolor), 솔라눔 멜론제나(Solanum melongena), 가시여지(Annona muricata) 추출물 등이 AMPK/SIRT/PGC1$\alpha$ 경로를 조절하여 고혈당 유도 골격근 손상이나 다기관 에너지 대사 이상을 개선하는 기전을 탐색합니다.
연구 2근육-뇌 연결성 및 노화 관련 기능 개선 연구
내용근육(Skeletal muscle) 기능과 뇌 기능의 상호 연결성(Muscle-Brain Connectivity)을 조절하여 노화(사르코페니아 비만) 및 대사성 질환으로 인한 손상을 보호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솔라눔 멜론제나 추출물 등의 보충제가 BDNF/PGC1$\alpha$/irisin 경로 조절을 통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쥐의 골격근 및 뇌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또한, 저항성 운동(Resistant Exercise)이 마이오카인(Myokines) 매개를 통해 인지 및 근육 기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여, 노화 관련 기능 저하를 개선하는 영양 및 운동 중재 방안을 모색합니다.
연구 3항산화, 항염증 및 상처 치유 메커니즘 규명
내용영양 성분 및 천연물의 항산화(Antioxidant), 항염증(Anti-inflammatory) 활성 및 피부 상처 치유(Wound Healing) 효과에 대한 기전 연구를 수행합니다. 감마-토코페롤(Gamma-tocopherol)이 당뇨병 쥐 모델에서 NLRP3 인플라마좀 관련 간 염증을 완화하고 상처 치유 초기 단계에서 과잉 염증 반응을 개선함을 규명했습니다. 또한, 오존화 오일(Ozonated Oils), 갈조류 폴리페놀(Ecklonia cava polyphenol), 뽕잎/오디 추출물 등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조절하여 상처 치유 및 대사 기능(간 지방 생성)을 개선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피부 흑색종(Cutaneous Melanoma) 진행에서의 산화 상태 균형 문제에 대해서도 연구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언론 보도] - 연구 결과 및 논문 관련 4건의 언론 보도 이력 보유 - 2024년 2월 5일, "Functional Foods" 게재 논문 관련 언론 보도 - 2023년 6월 16일, "Proinsulin Research" 관련 언론 보도

학력

학력 사항Ohio State University 이학박사 (인체 영양학 및 영양 면역학) (2003)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