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진우
배진우
소속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AI요약
배진우 교수는 가축의 성장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미생물총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변 미생물총을 활용한 가축 증체용 조성물 개발을 통해 육성기와 비육기 단계의 증체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도축 이후 도체중,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 등급 개선에 기여함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인 살모넬라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사멸시키는 신규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고, 이를 활용한 살모넬라균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세균 사멸용 제제, 사료 첨가제 등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축산 분야의 생산성 증대와 식품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학문적, 산업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배진우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baejw@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물학과 |
| 사무실 번호 | 029612312 |
| 연구실 | 미생물생태학 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microbecol.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미생물 생태 관련 연구 수행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09.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생물학과 교수로서 미생물 생태학, 장내 미생물, 박테리오파지 등 다양한 미생물 관련 연구 주도 및 교육 담당. 가축 증체용 미생물 조성물 및 살모넬라균 특이적 박테리오파지 개발을 통해 축산업 및 식품 안전 분야 기술 사업화에 기여. |
중요 키워드
#미생물생태학#가축증체#미생물자원#고세균#바이오텍#식품안전#장내미생물#살모넬라#환경미생물#박테리오파지#미생물군집분석#생균치료제#발효식품#미생물치료#항생제대체
연구 분야
| 연구 1 | 장내 미생물 생태 및 질병 연관성 연구 |
| 내용 | 이 분야는 미생물생태학을 핵심으로 장내 미생물(Gut microbiota)의 다양성, 구성 변화(Dysbiosis), 그리고 숙주의 건강 및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동물 모델에서 건강한 미생물군 이식(FMT)이 아밀로이드 및 타우 병리를 감소시키는 기전을 규명하고, 염증성 장 질환(Gut Inflammation)에 대한 장내 바이러스의 조절 역할 등을 연구합니다. 또한, Proteobacteria가 장내 불균형(Dysbiosis)의 지표임을 밝히고, 파지(Lysogeny)가 장내 미생물군에 널리 분포함을 확인하는 등 미생물 생태의 근본 원리를 규명합니다. |
| 연구 2 | 미생물 기반 대사 조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
| 내용 | 특정 미생물 종의 작용을 통해 숙주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건강을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르민이 Akkermansia sp. 개체군을 증가시켜 식이 유도 비만 쥐의 포도당 항상성(Glucose Homeostasis)을 개선함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Autophagic flux 활성화를 통해 장내 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인 ESRRA의 작용 기전에서 장내 미생물의 역할을 규명하는 등, 미생물을 활용한 대사 질환 및 면역 조절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치료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 연구 3 |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한 차세대 생태 연구 기술 |
| 내용 | 미생물 생태 연구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분석 기술 개발 및 적용에 중점을 둡니다.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s)와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을 비교하고, 바코드된 파이로시퀀싱(Barcoded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발효 식품의 고균 및 세균 다양성을 조사하는 등,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한 첨단 분자 생태학적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분변 미생물 이식(FMT)을 통한 송아지 설사 개선 및 성장 촉진 효과 연구와 같이, 미생물 군집 조절의 실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됩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 1997 - 2001: Ph.D. in Biology |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IST - 1995 - 1997: M.S. in Biology | Department of Micro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1990 - 1995: B.S in Biology | Department of Micro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