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경민
변경민
소속
경희대학교 (생체의공학과)
AI요약
변경민 교수는 인체 질병 진단 및 생체 물질 분석을 위한 첨단 바이오센서 및 광학 센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층 기반 바이오센서, 깊이에 상관없이 병변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라만 프로브 장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상된 민감도와 검출 성능을 갖는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칩, 그라핀층을 활용한 안정적인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바이오센서, 나노 격자 구조를 이용한 형광 영상 장치 등을 통해 정밀 의료 및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리간드 고정 없이 분석 대상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며 차세대 의료 진단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변경민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mbyun@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생체의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3842 |
| 연구실 | 생체광학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bplab.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08.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 2008년 경희대학교에 부임하여 생체의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이 기간 동안 4단계 BK21사업 융합학과 신규 교육과정 개발을 주도하고, 전자정보융합공학과 개설 및 '휴먼ICT융합', '생체신호계측' 등 융합 교과목 개발 및 팀티칭에 참여했습니다. 또한,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주도로 학부생을 위한 국내 최초 의공학 교과서 집필에 기여했으며, 2024 경희 Fellow(교육)로 선정되었습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부대학원장을 역임하며 학내 교육 및 연구 행정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중요 키워드
#융합기술#신경조율#바이오센서#라만분광#표면플라즈몬공명#생체이미징#생체전자#광학진단#바이오포토닉스#정밀의료#나노공학#암치료기술#나노바이오센싱#분자진단#의료기기
연구 분야
| 연구 1 | 나노포토닉스 기반 광학 생체 센싱 및 진단 |
| 내용 | 이 분야는 나노스케일의 물질이나 구조가 갖는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바이오센싱, 생체진단, 생체이미징에 응용할 수 있는 광학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나노포토닉스(Biophotonics) 기술을 핵심으로, 미세구조 공정 개발부터 광학 바이오 소자 제작에 이르는 전 과정을 다룹니다. 광학, 나노공학, 바이오공학, 전자공학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기존 성능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의 광학 바이오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나노바이오 융합을 통한 생체 현상 해석 |
| 내용 | 나노바이오공학(Nano-bio Engineering) 기술을 통해 생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적·화학적·기계적인 현상을 분자/원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응용하는 새로운 이론과 해석 기술을 연구합니다. 미세구조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고집적화 및 고정밀 특성을 갖는 기술을 의료공학에 접목시켜 생체 현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조절하는 데 필요한 첨단 핵심 기술을 확보합니다. |
| 연구 3 | 생체 신호 계측 및 처리용 전자 회로 시스템 |
| 내용 | 생체전자(Bioelectronics) 및 신경공학(Neuroengineering) 분야의 기초를 이루는 전자회로 시스템 설계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합니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신호를 계측하고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구성 기술에 집중합니다. 연산증폭기(Op-Amp)를 기반으로 하는 피드백 회로, 선형 증폭기, 액티브 필터 등을 설계하고 실험하여, 궁극적으로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계측 회로 및 시스템을 제작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대외 강연 및 커뮤니케이션] - 2018년부터 한국연구재단 대중과학강연에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참여하여 과학 대중화 및 청소년 진로 탐색 기회 제공에 기여했습니다. [학회 활동 및 저술] - 한국 생체 의공학회 및 관련 교수진과 협력하여 학부생을 위한 국내 최초 의공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했습니다. [수상 및 학술적 인정] - 2022년 세계 상위 2% 피인용 우수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 HCR)로 선정되어 활발한 연구 활동과 학술적 영향력을 인정받았습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