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규
유창규
소속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AI요약
유창규 교수는 공정시스템공학 및 수질처리 분야의 전문가로서,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 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운영 및 최적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수처리 공정의 지능형 제어, 스마트 대기질 모니터링 및 예측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효율 증대, 물-에너지 넥서스 분석,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등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및 소프트 센서 개발을 통해 실시간 환경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정확도를 높이며, 기후변화 적응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미래 환경 시스템의 지능화와 자원 효율 극대화를 위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유창규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ckyoo@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3824 |
| 연구실 | EMSEL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emsel.khu.ac.kr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06.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환경공학과 교수 |
| 회사명 | 벨기에 겐트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박사후 연구원 (2004) |
| 회사명 | 두산기술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전임연구원 (1998) |
중요 키워드
#머신러닝#디지털트윈#환경빅데이터#환기제어#계산독성학#인공지능#대기질관리#미세먼지예측#지속가능에너지#수질처리#수소생산#재생에너지#환경공정최적화#물에너지넥서스#공정시스템공학
연구 분야
| 연구 1 | AI 및 빅데이터 기반 환경 시스템 모델링 및 최적화 |
| 내용 | 이 분야는 환경시스템 공학(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그리고 시스템 최적화 기법을 융합하여 지속 가능한 운영 체계를 구축하는 연구에 집중합니다. 환경 플랜트(Environment Plant)의 모델링, 모니터링, 제어 및 최적화 통합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특히, AI 기반 MBR(Membrane Bioreactor) 자율 운영 시스템, PM(미세먼지) 예측 및 제어, NOx예측 모델링 등 산업 현장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스마트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지능형 수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 공정 제어 |
| 내용 | 스마트 워터 팩토리(Smart Water Factory)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특히 생물학적 폐수 처리 공정(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의 효율적인 운영에 중점을 둡니다. 활성 슬러지 모델(ASM) 및 혐기성 소화 모델(Anaerobic digestion model)의 보정 및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며, 수소 에너지 회수를 위한 처리 공정과 혐기성 소화의 통합 모델링을 탐구합니다. 또한, Tele-Monitoring System (TMS) 및 XML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폐수 처리 공정의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도 진행합니다. |
| 연구 3 | 공정 시스템 공학 및 지능형 데이터 분석 |
| 내용 | 화학 공정 시스템 공학(Process Systems Engineering in Chemical Engineering) 기법을 환경 및 화학 공정에 적용하여 프로세스 제어, 설계, 자동화 및 최적화를 연구합니다. Multi-response surface method (RSM)를 이용한 공정 최적화와 함께, 데이터 기반 모델링, 소프트 센싱 등 고급 통계적 모니터링 방법을 개발합니다. 또한, ICA, KPLS, SVM 등 고도화된 기계 학습 기반 통계적 모니터링 및 센서 오류 감지 및 재구성 기술을 연구하며, 산업 생태학(Industrial Ecology) 및 물 핀치 기술(Water Pinch Technology)을 활용한 자원 최소화 기술 개발에도 기여합니다. |
강의
| 담당 업무 | [강의 정보] 환경기기분석 (2023-10학기, ENV379-00) 대상: 3학년 (3학점), 언어: 한국어 운영방식: 일반강좌 환경통계해석특론 (2022-20학기, ENV767-00) 대상: 학년 (3학점), 언어: 전체영어 운영방식: 일반강좌 기특대교과목독립심화학습2(환경공학과) (2022-20학기, ENV494-00) 대상: 34학년 (3학점), 언어: 한국어 운영방식: 일반강좌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기술 자문] - (주)삼성전자 환경안전연구소 자문교수 (친환경기술 부문 겸직) |
학력
| 학력 사항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 박사 (2002)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 석사 (1995) 연세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199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