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창우

이창우

소속

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AI요약

이창우 교수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인 리튬이차전지, 나트륨이차전지, 아연공기전지의 핵심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극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소-도핑된 탄소 코팅, 유기성 폐기물 유래 금속 산화물 코팅, 나노 섬유를 이용한 표면 개질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고방전 용량 음극 활물질과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양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개발하며, 3D 형상 데이터 기반 스마트 웨어러블 전자장치용 유연 이차전지 제조 기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창우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창우
직책교수
이메일cwlee@kh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공학과
사무실 번호0312012529
연구실전기화학에너지 저장 및 변환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www.eesc.khu.ac.kr/
홈페이지-
소속경희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

중요 키워드

#리튬이온#양극활물질#전기화학#전극재료#금속산화물#유연전지#3D프린팅#아연공기전지#이차전지#신소재#에너지저장#웨어러블#탄소소재#나트륨이온#음극활물질

연구 분야

연구 1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
내용이 분야는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핵심 기술인 배터리(Batteries)와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s)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에 집중합니다. 리튬 이차 전지 및 아연-공기 전지(Zn-air Batteries) 시스템을 중심으로, 유기/무기 소재 합성 및 전극 및 전해질(Electrodes & Electrolytes) 개발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소듐 고체 배터리(Sodium Solid State Batteries)를 위한 재료 및 계면 설계 연구를 국제 공동으로 주도하고 있으며, 나노구조 및 메조다공성(Mesoporous) 구조를 갖는 고성능 전극 물질 합성에 중점을 둡니다.
연구 2에너지 변환 시스템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내용연료 전지(Fuel Cells)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Functional Materials) 및 나노복합체(Nanocomposites)를 개발합니다. 특히 전기화학적 동역학(Electrochemical Kinetics)을 분석하고, 전기 도금(Electroplating) 및 코팅(Coating) 기술을 활용하여 소재의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또한, 바이오 폐기물(Bio-waste, 예: 달걀 껍데기)을 열화학적으로 변환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용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 등 환경 친화적인 소재 개발에도 기여합니다.
연구 3첨단 제조 기술 및 융합 응용
내용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3D 프린팅 기술(3D Printing Technology)을 에너지 저장 장치 아키텍처 설계에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웨어러블 전자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한 3D 프린팅 구조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개발합니다. 또한, 그래핀 나노리본(Graphene Nanoribbons)을 이용한 전극 성능 향상, 비닐렌 카보네이트(Vinylene Carbonate) 첨가제의 효과 분석 등 첨단 재료 및 공정 기술을 연구하여 미래 에너지 플랫폼 구축 및 기술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Ph.D.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화학공학 석사 경희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경희대학교 화학공학

보유 기술 로딩 중...

이창우 | 경희대학교 기술이전·연구협력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