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산
이계산
소속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AI요약
이계산 교수는 가시광 통신(VLC)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분야의 권위 있는 전문가입니다. 조명등을 활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개발하여 기존 전파 통신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고, 병원, 항공기 등 특정 환경에서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 차량 간 통신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 자동차를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기 및 충전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며, 교통 시설물, 비콘, 다양한 통신 시스템(Wi-Fi, VLC)을 활용한 위치 추정 기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네트워크 및 홈 케어 시스템, 영상 전송의 QoS 보장을 위한 가시광 통신 제어, 인공지능 기반 피트니스 보조 시스템 등 다양한 융합 통신 기술 및 스마트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통신 환경 구축과 스마트 모빌리티, 웰니스 분야 혁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이계산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yesan@khu.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12012032 |
| 연구실 | 차세대무선통신 |
| 연구실 홈페이지 | - |
| 홈페이지 | - |
| 소속 | 경희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일본 KDDI |
| 재직기간 | 2002.01.01 ~ 2003.12.31 |
| 담당업무 | 연구원으로서 무선 통신 기술 연구 수행 및 관련 프로젝트 참여 |
| 회사명 | 일본 게이오대학 |
| 재직기간 | 2003.01.01 ~ 2003.12.31 |
| 담당업무 |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 교육 및 연구 활동 수행 |
| 회사명 | 경희대학교 |
| 재직기간 | 2003.01.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전파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무선 통신 및 광통신 분야의 교육 및 연구 주도. 가시광 통신, 무선 전력 전송, 지능형 교통 시스템 관련 다수의 특허를 등록하고, 차세대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 |
중요 키워드
#무선충전#무선전력전송#가시광통신#모바일통신#피트니스보조시스템#지능형교통시스템#사물인터넷#QoS#차량간통신#스마트홈#OFDMA#LED통신#바이오레이더#광통신#센서네트워크
연구 분야
| 연구 1 |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킹 |
| 내용 | 이 분야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기술을 연구합니다. CDMA,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MC-CDMA, MC-DS/CDMA, MIMO(다중 입출력) 등 다양한 다중 접속 및 전송 기술을 깊이 있게 다루며, 이들의 성능 분석 및 최적화 기법에 집중합니다. 또한, Device-to-device(D2D) 통신 기술을 연구하여 단말기 간 직접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고,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전반적으로 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해 전송 효율과 네트워크 용량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가시광 통신 (VLC) 기술 개발 |
| 내용 |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은 이 교수님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LED 조명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이 분야는 기존 무선 주파수 통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내외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VLC 시스템의 변조, 다중화, 네트워킹 기술을 연구하며, 조명 기능과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융합 기술의 실현에 중점을 둡니다. |
| 연구 3 | 무선 위치 추정 및 통신 환경 분석 |
| 내용 |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위치 추정(Localization) 기술 연구도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TOA(Time of Arrival) 및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 위치 추정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고, LOS(Line of Sight)와 NLOS(Non-Line of Sight) 혼합 환경에서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섭동 분석(Perturbation Analysis) 등을 수행합니다. 이 연구는 측위 정확도 향상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LBS)와 네트워크 관리에 기여하며, 총 효용 극대화(Maximizing Total Utility)를 위한 전력 할당 알고리즘 개발과 같은 실용적인 문제 해결을 함께 다룹니다. |
학력
| 학력 사항 | 게이오대학교 공학박사 (2002) |
보유 기술 로딩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