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홍인기

홍인기

소속

경희대학교 (전자공학과)

AI요약

홍인기 교수는 딥러닝 기반 모터 고장 진단 기술을 연구하며, 특히 3상 모터 및 유도 전동기의 전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QoS 보장을 위한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및 다중 대역 통신 기술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복수의 단말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신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기술 역시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홍인기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홍인기
직책교수
이메일ekhong@khu.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전자공학과
사무실 번호0312012982
연구실경희대학교 이동통신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khu-mcl.github.io/
홈페이지-
소속경희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경희대학교
재직기간1999.03.01 ~ 재직 중
담당업무전자정보대학 전자공학과 교수로서 4G/5G/6G 이동통신, 스펙트럼 엔지니어링, 모바일 통신 분야의 AI 등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며, 다수의 논문 발표와 특허 등록을 통해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회사명경희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으로서 대학의 연구 활동을 총괄하고, 산학 협력을 통해 기술 사업화 및 산업계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대학 연구 역량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회사명경희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기술지주회사 사장으로서 대학이 보유한 원천 기술의 사업화 및 기술 이전을 추진하며, 유망 기술 스타트업 육성 및 투자를 통해 대학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회사명SK Telecom 중앙연구원
재직기간1995.01.01 ~ 1999.02.28
담당업무선임연구원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관련 기술 연구 개발을 수행하며, 핵심 기술 개발과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회사명NTT DoCoMo (Japan)
재직기간1997.01.01 ~ 1998.12.31
담당업무교환연구원으로서 국제적인 이동통신 기술 교류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연구에 참여하며, 글로벌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회사명Oregon State Univ.
재직기간2006.01.01 ~ 2007.02.28
담당업무방문교수로서 국제 공동 연구 및 학술 교류 활동을 수행하며, 통신 분야의 최신 동향을 연구하고 지식을 공유하였습니다.
회사명차세대이동통신 ITRC
재직기간-
담당업무센터장으로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총괄하며 국가 ICT 발전에 기여하고, 연구 성과를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였습니다.

중요 키워드

#UAM#네트워크슬라이싱#무선전력전송#자원스케줄링#AI#딥러닝#UAV#6G#5G#모터고장진단#QoS#이동통신#OpenRAN#스펙트럼엔지니어링#위성통신

연구 분야

연구 1Open RAN 및 네트워크 지능화 (AI/ML)
내용이 분야는 차세대 이동통신(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Open RAN 구조와 인공지능(AI)/머신러닝(ML)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에 중점을 둡니다. Open RAN 테스트베드 구현 및 오픈소스를 활용한 End-to-End 네트워크 구축을 다루며, 특히 O-RAN의 핵심 요소인 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를 이용한 초저지연 및 데이터 기반 제어 루프 구현을 연구합니다. 세부적으로 AIMLFW(AI/ML Framework)를 통한 MLOps 기반 모델 운영 자동화 및 트래픽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및 배포를 포함합니다.
연구 2지능형 무선 자원 관리 및 최적화
내용네트워크의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및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을 다룹니다. RAN 슬라이싱 기술을 위한 Online Convex Optimization 기반 자원 관리 알고리즘을 연구하며, Cell Edge User의 Throughput 향상을 위한 User Associ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또한, 기지국 위치 최적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활용, 특화망을 위한 Cell Planning, 그리고 트래픽 이상 탐지를 통한 기지국 안정성 향상 등 네트워크 운영 효율성을 위한 다양한 최적화 기법을 포함합니다.
연구 3미래 통신 핵심 기술 및 융합
내용Massive MIMO, CoMP(Coordinated Multi-Point), User-Centric Cell-Free, eICIC와 같은 LTE-Advanced 및 5G/6G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를 포함합니다. 더불어 Energy Harvesting (SWIPT), RF Repeater, Fronthaul Capacity 등 물리 계층 및 하드웨어 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룹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을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활용하거나, 연합 학습을 통해 네트워크 탄소 배출량 감소를 연구하는 등 환경 및 지속가능성 측면의 융합 연구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한국통신학회 회장 (2023), 부회장, 상임이사, 이사, 감사 (1999.03 ~ 2022), 명예회장 (현) - 이동통신 연구회 위원, 위원장 (2000~현재) - 정보통신부 주파수 연구반, 이동통신 분과 위원장 (2003 ~ 2005) - 미래창조과학부 전파정책자문위원, 위원장 (2013~ 2016) - 5G 포럼 주파수 위원회 위원장 (2014~2020) - 국무조정실 주파수 심의 위원 (2014.10 ~2018.09) - 과기정통부 5G 주파수 자문 위원장 (2017~2018), 전파정책 자문위원회 위원장 (현) - IEEE VTS Seoul Chapter 위원장 (2018~2019) - 6G Research Initiative 의장 (2021 ~ 2022) - 5G 기반 스마트공장 표준화 포럼 의장 (현) - (전) 위성통신포럼 주파수위원회 위원장 [기술 자문/컨설팅] - 정보미디어 및 통신 기업과 연구소 등과 관련 컨설팅 및 프로젝트 수행 - 디지털 전환기의 국가전략기술과 기술주권 강화방안 보고서의 '네트워크 기술 표준 경쟁' 장 외부자문위원 참여 [수상/포상] -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대한민국 근정포장 및 장관표창 등을 수상 - 대한민국 근정 포장: ICT 발전 유공자 (2021)

학력

학력 사항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1995)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1991)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1989)

보유 기술 로딩 중...